셀 스웰링(Cell Swelling)이란 배터리 셀(특히 리튬이온 배터리)이 충·방전 및 장기 사용 중 내부 화학 반응으로 인해 부피가 팽창하는 현상을 의미한다. 셀 스웰링은 배터리 성능 저하, 안전성 문제, 기기 설계 제한 등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, 이를 평가하는 셀 스웰링 수명시험이 필수적이다.
1. 시험 목적
• 장기간 충·방전 사이클 동안 배터리 셀의 두께 변화(스웰링 현상)를 측정
• 셀 팽창이 제품 설계 기준을 초과하는지 확인
• 스웰링이 배터리 성능 및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
2. 시험 방법
① 초기 셀 두께 측정
• 시험 전 배터리 셀의 초기 두께를 마이크로미터 또는 레이저 변위 센서 등을 이용해 측정
• 측정 환경(온도, 압력 등)을 일정하게 유지
② 충·방전 테스트 진행
• 표준 충·방전 프로토콜을 따라 수백~수천 회 충·방전 반복
• 일반적인 테스트 조건 예시:
• 충전: 4.2V (완전 충전), 1C 속도
• 방전: 2.5V (완전 방전), 1C 속도
• 온도 조건: 25°C 또는 가속 시험의 경우 45~60°C
③ 특정 사이클마다 셀 두께 측정
• 일정한 사이클(예: 100, 200, 500, 1000사이클)마다 두께 변화 측정
• 배터리 내부 가스 발생에 따른 스웰링 속도 분석
④ 고온·고습 환경에서의 스웰링 테스트 (선택적 시험)
• 고온·고습 환경에서 스웰링이 더 심할 수 있으므로 추가 시험 수행 가능
• 예: 60°C, 90% RH (Relative Humidity, 상대습도) 조건에서 보관 후 두께 변화 확인
⑤ 시험 종료 후 데이터 분석
• 전체 충·방전 사이클 동안의 스웰링률(%) 계산
• 스웰링률(%) = [(최대 두께 - 초기 두께) / 초기 두께] × 100
• 특정 기준(예: 5% 이하) 초과 시 불량 판정
3. 평가 기준 및 허용 범위
• 전자기기용 배터리(스마트폰, 노트북): 스웰링률 3~5% 이내
• 전기차(EV) 배터리: 스웰링률 5~10% 이내
• 안전성 기준 초과 시 배터리 설계 수정 또는 소재 개선 필요
4. 주요 원인 및 해결 방법
• 전해질 분해 → 내부 가스 생성 → 고품질 전해질 사용
• 고온 환경에서 SEI(고체전해질 계면)층 변화 → 안정적인 SEI 형성 기술 적용
• 충·방전 조건 최적화 필요 → 충전 속도 조절, 저온·고온 충전 제한
결론
셀 스웰링 수명시험은 배터리의 장기 사용 안전성과 제품 설계 적합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절차다. 정밀한 측정 장비를 활용해 두께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, 허용 기준을 초과할 경우 배터리 설계 및 소재 개선이 필요하다.
From Blogger iPhone cli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