강화학습의 모델 기반 vs 모델 프리 학습
강화학습(Reinforcement Learning, RL)은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보상을 최대화하는 방식으로 학습하는 방법입니다. 이때 학습 방식에 따라 크게 모델 기반(Model-based) 학습과 모델 프리(Model-free) 학습으로 나뉩니다.
1. 모델 기반 학습 (Model-based Learning)
모델 기반 학습은 환경의 동작을 예측하는 모델을 만들어서 학습하는 방법입니다. 즉, "이 행동을 하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?"를 미리 예측하는 모델을 활용합니다.
✔ 특징
- 환경 모델을 활용 → 실제 행동 전에 시뮬레이션 가능
- 학습 속도가 빠를 수 있음
- 환경 모델이 부정확하면 잘못된 예측 가능
✔ 예제
- 체스를 둘 때, 상대의 다음 수를 예측하면서 학습
- 날씨 예측 모델을 만들어 농작물 재배 전략 학습
2. 모델 프리 학습 (Model-free Learning)
모델 프리 학습은 환경 모델 없이, 직접 행동을 해보고 얻은 보상을 기반으로 학습하는 방법입니다. 즉, "이 행동을 하면 결과가 어땠지?"를 경험을 통해 배웁니다.
✔ 특징
- 환경 모델이 필요 없어서 단순함
-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며 학습해야 해서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음
- Q-learning, SARSA, 정책 기반 방법 (Policy Gradient) 등이 대표적인 모델 프리 방법
✔ 예제
- 아기가 걸음을 배우는 과정 (직접 넘어지고 다시 시도하며 학습)
- 알파고(AlphaGo)가 바둑을 학습할 때, 수많은 게임을 해보면서 좋은 수를 찾아가는 방식
3. 모델 기반 vs 모델 프리 비교
구분 | 모델 기반 학습 | 모델 프리 학습 |
---|---|---|
환경 모델 | 필요함 (예측 가능) | 필요 없음 (직접 경험) |
학습 속도 | 빠를 수 있음 | 상대적으로 느림 |
활용 예시 |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문제 (체스, 로봇) | 복잡한 환경에서 시행착오를 통한 학습 (게임, 자율주행) |
결론
만약 환경에 대한 정보를 어느 정도 알고 있다면 "모델 기반 학습"이 더 빠를 수 있고, 반대로 환경을 잘 모른다면 "모델 프리 학습"을 통해 직접 경험하며 배워야 합니다.
어떤 방법을 사용할지는 문제의 성격과 목적에 따라 달라집니다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