강화학습의 모델링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?
강화학습(Reinforcement Learning, RL)에서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최적의 행동을 학습하기 위해 다양한 모델링 방법이 존재합니다. 주요 방식으로는 모델 기반 (Model-Based)과 모델 프리 (Model-Free)가 있으며, 각각 장단점이 있습니다.
1. 모델 기반 (Model-Based) 강화학습
모델 기반 강화학습은 환경의 동작을 예측할 수 있는 환경 모델을 학습하여 정책을 최적화하는 방식입니다.
- 환경의 상태 전이 확률 \(P(s'|s, a)\)과 보상 함수 \(R(s, a)\)를 모델링
- 학습된 모델을 활용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며 정책을 개선
- 대표적인 알고리즘: Dyna-Q, AlphaGo, MuZero, PILCO
2. 모델 프리 (Model-Free) 강화학습
모델 프리 방식은 환경 모델 없이 직접 경험을 통해 학습하는 방식입니다.
- 환경과 직접 상호작용하여 데이터 수집
- 많은 데이터를 필요로 하지만 복잡한 환경에서도 적용 가능
- 대표적인 알고리즘: Q-learning, DQN, PPO, A2C, SAC
3. 가치 기반 vs 정책 기반 vs Actor-Critic
방법 | 개념 | 대표 알고리즘 | 장점 | 단점 |
---|---|---|---|---|
가치 기반 (Value-Based) | Q-value를 학습하여 최적 행동 선택 | Q-learning, DQN | 샘플 효율적 | 고차원 행동 공간에 취약 |
정책 기반 (Policy-Based) | 정책을 직접 최적화 | REINFORCE, PPO | 연속적 행동에서 강함 | 샘플 효율성 낮음 |
Actor-Critic | 정책 + 가치 결합 | A2C, SAC | 가치 평가로 안정적 학습 | 설계가 복잡함 |
4. 모델 기반 vs 모델 프리 비교
구분 | 모델 기반 (Model-Based) | 모델 프리 (Model-Free) |
---|---|---|
환경 모델 | 환경을 모델링하여 사용 | 환경 모델 없이 학습 |
샘플 효율성 | 높음 (적은 데이터로 학습 가능) | 낮음 (많은 데이터 필요) |
학습 속도 | 빠름 (모델을 활용해 예측 가능) | 느림 (경험을 직접 쌓아야 함) |
적용 가능 환경 | 모델이 정확하면 강력함 | 복잡한 환경에서도 적용 가능 |
예제 알고리즘 | Dyna-Q, AlphaGo, MuZero | Q-learning, DQN, PPO, A2C |
5. 결론
강화학습에서는 문제의 특성에 따라 모델 기반과 모델 프리 방식을 적절히 선택해야 합니다.
- 빠르고 효율적인 학습이 필요하면 모델 기반 방식 사용
- 복잡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학습하려면 모델 프리 방식 사용
각 방법의 장단점을 이해하고 적절히 적용하면 강화학습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