V2G 사업 추진 로드맵 (단계별 확보 사업)
충전 인프라 에너지 플랫폼 전력거래/DR 차량·배터리 규제·인증 금융/인센티브 파트너십
전략 골격
핵심 가치제안 | EV 배터리를 분산자원으로 전력시장에 연결하여 피크 저감·계통보조·요금절감·수익공유를 동시에 달성 |
---|---|
수익원(예시) | ① 수요반응(DR) 정산 ② 소규모 전력중개 수수료 ③ 피크차액/수요요금 절감 공유 ④ B2B 플랫폼 사용료 ⑤ 양방향 충전기 임대/판매 ⑥ 탄소/REC 가산 |
핵심역량 | 양방향 충전 인프라 운영(CPO) · VPP/EMS 소프트웨어 · 예측/최적화 알고리즘 · 시장정산 · 규제/안전 준수 |
단계별 로드맵
Phase 0. 사전탐색 (0–3개월)
필수 확보 사업
- V2G 적용 가능 OEM·차종 리스트업(ISO 15118-20, CHAdeMO 등)
- 양방향 DC 충전기(DC bi-directional) 벤더 소싱 & POC 킷
- OCPP 2.0.1, ISO 15118 통신 시험환경
- 전력시장/DR 참여 요건, 소규모중개 사업성 검토
KPI
- 호환 차종 ≥ 3, 충전기 벤더 ≥ 2
- POC 사이트 2곳(사옥·산단) 후보
- 사업성 모델 2안(가정/플릿)
Phase 1. 실증 준비 (3–9개월)
확보/구축
- EMS/VPP 최소기능(MVP): 충·방전 스케줄링, SOC/열화 제약, TOU 반영
- DR·중개 정산 모듈(정산엔진, 청구/분배 로직)
- 파일럿 인프라: 양방향 충전기 10–30기, 실증 차량 20–50대
- 안전·인증: 설비 KS/전기안전, 통신 상호운용 시험
- 참여 인센티브 설계: kWh당 보상 + 참여보너스
파트너십
- 완성차(현대차/기아 등) 기술 MOU
- CPO/부지(지자체·산단·대학) 실증 협약
- 보험/금융(배터리 보증, 수명 리스크 헤지)
KPI
- 월 가용용량 ≥ 300 kWh, 응답시간 < 5분
- 최초 정산 사이클 완료, NPS ≥ 40
Phase 2. 파일럿 실증 (9–18개월)
확보/확장
- 플릿 대상 V2G(버스·물류·택시 차고지) 상용 프로필
- 가정형(V2H→V2G) 번들: 태양광·ESS·양방향 충전기
- AI 예측(수요·가격·차량 이용패턴) & 최적화(수명-수익 균형)
- 고객앱/포털: 참여/수익 대시보드, 스케줄 동의, 알림
리스크/규제
- 배터리 열화 추적(BMS 연동, SoH 모델)·보상 규칙
- 사고·품질 클레임 대응 SOP
- 개인정보/사이버보안(암호화·권한·로그)
KPI
- 참여 차량 ≥ 300대, 유효 피크저감 ≥ 1 MW
- 차량당 월 순수익(고객 분배 전) ≥ ₩20,000
- 통신 가용성 ≥ 99.5%
Phase 3. 상용 확장 (18–36개월)
사업 확보
- 전력중개 본사업 진입(복수 시장상품 참여: 피크컷, 보조서비스 등)
- 도시/산단 단지형 VPP(수천 kW 규모) EPC·O&M
- OEM 사전장착(SDX)·리셀 번들 계약
- API 오픈(타 CPO/RE100 기업 연동)
KPI
- 유효자원 ≥ 10 MW
- COGS/매출 비율 < 55%
- 이탈률 < 3%/분기
Phase 4. 포트폴리오 다각화 (36개월~)
- V2B(건물 마이크로그리드 연계), 버스차고지/항만/공항 특화
- 배터리 2차생애 ESS + V2G 하이브리드 운영
- 탄소배출권/REC 패키지, 해외시장(동남아/유럽) 진출
워크스트림별 ‘무엇을 확보’ 체크리스트
기술/제품 | 양방향 충전기(시험·형식승인), OCPP 2.0.1/ISO 15118-20 스택, 차량 인증서 핸들링, EMS/VPP 엔진, SoH/열화 모델, 사이버보안(암호화·HSM) |
---|---|
인프라/O&M | CPO 운영시스템(CMS), 현장 시공 표준도면, 원격 모니터링/제어, 장애 복구 SLA, 부품·애프터서비스(콘택터/릴레이/모듈) |
시장/정산 | DR/중개 사업자 요건, 계량·정산 API, 고객수익 분배 규칙, 세금계산/영수 처리, 회계 인식 정책 |
규제/인증 | 전기안전·통신 상호운용 인증, 개인정보/망분리 가이드 준수, 보험(배터리·설비·영업배상) |
고객/상품 | 가정형 번들(태양광·ESS·충전기), 플릿형 SLA(가용시간/최소SOC), 인센티브 정책, 고객앱 UX |
파트너십 | OEM·충전기 벤더, CPO·발전/소매전력사, 지자체·산단, 금융/보험, 시공사 |
의사결정 게이트(Gate) & 지표
Gate 1 (POC→파일럿) | 호환차종 3+, 충전기 상호운용 95%+, 초기 단가(설치 포함) ≤ ₩5백만/기 |
---|---|
Gate 2 (파일럿→초기상용) | kW당 월총수익 ≥ ₩3,000, 고객 NPS ≥ 40, 정산 오류율 < 0.5% |
Gate 3 (초기상용→확장) | CAC 회수 < 12개월, 유지보수 비용/kW ↓ 30% YoY, 가용성 ≥ 99.5% |
리스크 & 대응
배터리 열화 | 최소 SOC·사이클/온도 제약, 열화 기반 보상, SoH 추적·예측 |
---|---|
규제 불확실성 | 지자체·기관 실증 참여, 다양한 시장상품 테스트, 표준화 컨소시엄 참여 |
상호운용 이슈 | OEM 공동시험, 펌웨어 OTA 체계, 프로토콜 적합성 테스트베드 운영 |
수익성 변동 | 포트폴리오 다각화(V2H/ESS/DR/보조서비스), 고정+변동 혼합 보상 |
보안/개인정보 | PKI·TLS, 권한분리, 침해대응 훈련, 로그감사 |
CapEx / OpEx 개요(예시)
CapEx | 양방향 충전기·시공, 통신·계량, 파일럿 부지 공사, 테스트베드(실차/모의그리드) |
---|---|
OpEx | 클라우드/통신비, 정산·결제 수수료, 유지보수·현장출동, 고객 인센티브, 보험 |
첫 100일 액션 플랜
- 주간 1: OEM·충전기 벤더 미팅, 호환성 로드맵 확보
- 주간 2–4: 파일럿 사이트 설계(차고지/사옥), 안전·인허가 착수
- 주간 5–8: EMS/VPP MVP 개발, 계량·정산 연동
- 주간 9–12: 현장 설치·통신 적합성 시험, 고객 인센티브 온보딩
※ 본 로드맵은 국내 제도·시장 환경을 전제로 작성된 표준안입니다. 실제 추진 시 대상 시장(가정/플릿/산단), 지역 규제, 파트너 역량에 따라 세부 일정을 조정하세요.
댓글 없음: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