검사기 과검율과 검출율 간의 관계
1. 정의
검출율 (Recall): 실제 불량 제품 중 검사기가 불량으로 잘 판정한 비율입니다.
공식: 검출율 = True Positive / (True Positive + False Negative)
과검율 (False Positive Rate): 실제 정상 제품 중 검사기가 잘못 불량으로 판정한 비율입니다.
공식: 과검율 = False Positive / (True Negative + False Positive)
2. 관계 및 트레이드오프
- 검출율을 높이면 불량을 잘 잡지만, 과검율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.
- 과검율을 낮추면 정상 제품은 잘 통과하지만, 불량을 놓칠 위험이 있습니다.
- 두 지표는 보통 서로 상충 관계(trade-off)에 있습니다.
3. 산업별 고려
구분 | 설명 | 권장 전략 |
---|---|---|
안전/신뢰 중요 산업 (예: 배터리, 의료기기) |
불량을 절대 놓치면 안 됨 | 검출율 우선, 과검율 감수 |
비용/생산성 중시 산업 (예: 소비재) |
정상을 불량으로 판정하면 낭비 발생 | 과검율 최소화 우선 |
4. 해결 방안
- ROC Curve로 최적의 기준점 찾기
- 임계값(Threshold) 조정
- AI 검사기 도입으로 정밀도 향상
댓글 없음: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