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pk로 Ppk를 이해하기 (초보자용)
1. Cpk와 Ppk란?
Cpk는 공정의 능력을, Ppk는 실제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
구분 | Cpk (공정능력) | Ppk (성능능력) |
---|---|---|
측정 대상 | 공정 내 편차 | 전체 생산 편차 |
기간 | 단기 (공정 중심) | 장기 (전체 샘플 기준) |
표준편차 | 공정 표준편차 (σ) | 전체 표준편차 (S) |
의미 | 잠재적 품질 | 실제 품질 |
2. 예시: 연필 길이
제품: 연필
목표 길이: 100mm ± 5mm → 허용 범위: 95mm ~ 105mm
측정된 평균 길이: 101mm
- 공정 표준편차 (σ): 1.5mm → Cpk 계산용
- 전체 표준편차 (S): 2.0mm → Ppk 계산용
3. Cpk 계산
Cpk = min[(USL - 평균) / (3 × σ), (평균 - LSL) / (3 × σ)] = min[(105 - 101) / (3×1.5), (101 - 95) / (3×1.5)] = min[4 / 4.5, 6 / 4.5] = min[0.89, 1.33] = 0.89
4. Ppk 계산
Ppk = min[(USL - 평균) / (3 × S), (평균 - LSL) / (3 × S)] = min[(105 - 101) / (3×2.0), (101 - 95) / (3×2.0)] = min[4 / 6, 6 / 6] = min[0.67, 1.00] = 0.67
결론:
Cpk는 0.89 → 공정이 꽤 괜찮지만,
Ppk는 0.67 → 실제 생산물의 품질에는 변동이 많음
→ 공정은 좋아 보여도, 실제로는 품질이 일관되지 않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.
Cpk는 0.89 → 공정이 꽤 괜찮지만,
Ppk는 0.67 → 실제 생산물의 품질에는 변동이 많음
→ 공정은 좋아 보여도, 실제로는 품질이 일관되지 않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.
5. 요약
- Cpk: 공정 내에서 잠재적인 품질을 나타냄
- Ppk: 전체 데이터를 반영한 진짜 결과
- Cpk만으로는 Ppk를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(표준편차가 다름)
댓글 없음: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