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RP 비교: 한국투자증권 vs 신한은행
1. 기본 정보 요약
항목 | 한국투자증권 | 신한은행 |
---|---|---|
기관 성격 | 증권사 (투자 특화) | 은행 (보수적 운영) |
운용 성격 | 직접 투자 가능 (ETF, 펀드 다양) | 안정적 상품 위주 (예금, 보험 등) |
수수료 | 저렴하며 일정 자산 이상 시 면제 | 비교적 높으며 면제 기준이 더 높음 |
상품 다양성 | 매우 다양 | 제한적 |
앱 편의성 | 우수 (뱅키스) | 무난함 |
추천 대상 | 투자에 익숙한 사용자 | 안정적 운용 선호 사용자 |
2. 수수료 비교
항목 | 한국투자증권 | 신한은행 |
---|---|---|
계좌 관리 수수료 | 낮음, 일정 자산 이상 시 면제 | 은행 평균 수준, 면제 기준 높음 |
운용 수수료 | ETF/펀드에 따라 낮음 | 펀드 수수료 상대적으로 높음 |
3. 상품 구성 비교
항목 | 한국투자증권 | 신한은행 |
---|---|---|
ETF 투자 | 가능 | 불가 또는 제한적 |
TDF 상품 | 다양 | 일부 가능 |
예금 상품 | 소수 제공 | 다수 제공 |
4. 사용자 편의성
항목 | 한국투자증권 | 신한은행 |
---|---|---|
앱/MTS | 우수 (투자 중심 앱) | 일반적인 은행 앱 수준 |
상담 서비스 | 온라인/전화 중심 | 지점 방문 가능, 접근성 우수 |
5. 추천 요약
유형 | 추천 기관 | 이유 |
---|---|---|
수익률 중시형 | 한국투자증권 | ETF 다양성, 저수수료 |
안정성 중시형 | 신한은행 | 예금 위주 구성 가능 |
초보 투자자 | 신한은행 또는 한국투자 TDF | TDF 위주 구성 가능 |
직접 운용 가능자 | 한국투자증권 | 상품 다양성 및 자율성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