4차 산업혁명
1) 산업의 발전과정
(1) 1차 산업혁명 : 18세기
- 증기기관 발명
- 기계를 이용한 공장 생산체제의 개막
- 부르주아 계급의 등장
(2) 2차 산업혁명 : 20세기 초
- 컨베이어 벨트의 등장
- 작업표준화와 분업 시작
- 대량생산 체제에 진입
(3) 3차 산업혁명 : 1970년대 이후
- 공작기계, 산업용 로봇의 등장
- 공장자동화
- 생산성 혁명
(4) 4차 산업혁명 : 2020년 이후 전망
- 기계가 능동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지능을 갖춤
- 기존 소품종 대량 생산의 속도에 맞춰 다품종 소량생산이 가능함
2) 4차 산업혁명
- 정의 : 전통적인 산업 기술과 최근의 정보통신기술을 결합한 사이버 물리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제조 기술의 변혁
사이버 물리시스템(Cyber-Physical System)의 유연하고 가벼운 생산체계
개인화된 제품의 생산과 신제품을 신속하게 출시할 수 있는 유연한 생산체계
- 기술 : 중앙화된 생산제어방식 -> 제품소재 단위로의 분산제어방식 변환
기계가 스스로 판단하여 동작하고 에너지 효율을 제어할 수 있는 하나의 자율생태계 기술
주1) CPS(Cyber-Physical System)
- 물리적 현실 세계에 속한 사람과 센서 및 액추에이터를 인터넷 서비스, 인공지능 시스템, 각종 정보량이 존재하는 사이버 세계와 연결해주는 매개체
주2) 액추에이터
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작동을 수행하는 장치
3) 4차 산업혁명의 출현배경
- 대량 고객 맞춤 생산방식(mass customization)의 필요 : 짧아지는 제품 수명과 빨라지는 신제품 출시주기에 비해 소비자들의 기대수준은 높아짐
- 소비 패러다임 변화 : '저임금 국가 생산과 선진국 소비위주'의 패턴에서 '글로벌 생산과 글로벌 소비'로의 패러다임 변화로 인해 전세계 어느 곳에서 생산하더라도 동일한 품질, 비용의 제품이 가능해야 함
- Reshoring : 해외제조비용 증가로 인하여 저임금 요소보다는 비임금요소의 가치가 부각되어 해외이전기업의 본국귀환
(노동생산성, 노동유연성, 고객접근성, 지자체 지원, 현지시장 트렌드)
주3) 10년간 평균임금의 급증으로 인하여 중국의 저임금 매력이 사라졌으며 향후 보다 더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