어텐션 메커니즘 이해: 친구 사진 찾기 예제
이번 예제에서는 실생활 상황을 통해 Query, Key, Value의 개념을 이해해보겠습니다.
1. 상황 설명
당신이 친구 앨범에서 특정 친구 “민수”의 사진을 찾고 싶다고 가정합니다.
2. Query, Key, Value 정의
역할 | 설명 |
---|---|
Query (Q) | “나는 민수 사진을 찾고 싶어!” → 당신의 질문 |
Key (K) | 각 사진의 라벨/이름표 → 민수, 지훈, 수진 등 |
Value (V) | 실제 사진 데이터 → 앨범 속 사진 자체 |
3. 어텐션 과정
- Query와 Key 비교: 당신의 Query(민수)를 각 사진의 Key(라벨)와 비교합니다.
- 민수 라벨 사진 → 높은 점수
- 지훈, 수진 라벨 사진 → 낮은 점수 - Softmax로 가중치화: 점수를 확률로 변환
- 민수 사진 → 0.8
- 지훈 사진 → 0.1
- 수진 사진 → 0.1 - Value에 반영: 각 사진(Value)에 가중치를 곱해서 최종 결과를 만듭니다.
- 민수 사진이 가장 많이 반영됨 → 최종 출력
4. 핵심 요약
- Query: 내가 찾고 싶은 것 (질문)
- Key: 데이터의 이름표, 특징 (라벨)
- Value: 실제 데이터 (사진, 텍스트 등)
- 어텐션: Query와 Key의 유사도를 기준으로 Value를 얼마나 반영할지 결정
즉, “나는 민수 사진을 찾고 싶다”라는 Query에 따라 Key(사진 라벨)와 비교하고, Value(사진) 중 민수 사진을 가장 많이 선택하도록 하는 과정이 바로 어텐션 메커니즘입니다.
댓글 없음: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