배터리 소재 분야의 소재정보학 적용 사례
1. 양극재 소재 개발
- 대표 소재: NCM, NCA, LFP 등
- 적용: 머신러닝을 통해 조성비에 따른 에너지 밀도 및 안정성 예측
- 기법: DFT와 ML 결합을 통한 조합 최적화
- 사례: LG에너지솔루션, 삼성SDI
2. 음극재 개발
- 대표 소재: 흑연, 실리콘, SiOx 복합소재
- 적용: 실리콘계 팽창률 예측 및 복합비율 최적화
- 사례: 한화, TDK 등
3. 고체전해질 설계
- 대표 소재: 황화물계, 산화물계, 고분자계
- 적용: 이온전도도 및 안정성 예측
- 사례: 알곤국립연구소(ANL)
4. 전해질 및 첨가제 개발
- 목적: 고속 충전 성능 향상 및 안정성 확보
- 적용: 용매-염-첨가제 조합을 ML로 최적화
- 사례: SK온
5. 전체 시스템 통합 최적화
- 양극/음극/전해질 상호작용 통합 분석
- AI 기반 열화 메커니즘 예측
주요 기술 요소
기술명 | 설명 |
---|---|
DFT | 밀도범함수 이론으로 전자 구조 계산 |
ML/AI | 머신러닝을 통한 물성 예측 |
HTE | 고속 실험 플랫폼으로 데이터 확보 |
데이터베이스 | Materials Project, OQMD 등 활용 |
효과 요약
항목 | 적용 효과 |
---|---|
신소재 발견 | 수만 가지 조합 중 최적 조합 선별 |
실험 효율성 | 개발 기간 단축, 반복 실험 감소 |
비용 절감 | 실험 및 인력 운영 비용 절감 |
예측 정밀도 | 수명, 안전성, 출력 예측 정확도 향상 |
댓글 없음:
댓글 쓰기